전국 4위 축산도시 청주, 농가의 발걸음이 헛되지 않도록 이인숙 의원 2025-06-20 |
회의록 영상보기 |
안녕하십니까? 농업정책위원회 이인숙 의원입니다. 5분자유발언의 기회를 주신 김현기 의장님과 선배ㆍ동료의원 여러분, 청주시 발전을 위해 노력하시는 이범석 시장님을 비롯한 공직자 여러분! 감사드립니다. 오늘 저는 축산 악취와 환경 개선을 위한 핵심 자원인 미생물이 정작 현장에서는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짚고, 이를 해결할 실효성 있는 대책을 촉구하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미생물은 축산농가의 악취저감과 가축의 소화 효율 증진에 뛰어난 효능을 보여 주는 자원으로 이를 사료와 함께 급여하면 축사 내 암모니아 가스와 초산 등의 악취 물질이 줄고 사육 환경이 눈에 띄게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청주시에는 현재 한강수계지역인 낭성면에 고형미생물 생산시설이 한 곳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시설은 한강수계기금으로 조성되어 연간 25톤의 고형미생물을 생산하고, 미생물 배급을 원하는 농가는 신청 이후 방문수령 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공급 체계는 현실의 수요와 여건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청주시 축산농가의 90프로 이상이 수계지역 외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농가는 수십 킬로미터를 오가며 미생물을 공급받아야 하는 구조적 불합리에 직면해 있습니다. 심지어 일부 농가는 낭성까지 가서도 미생물을 공급받지 못하고 돌아오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청주시는 한우 사육두수만 해도 6만 6,000두로 중ㆍ북부권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이는 한우로 널리 알려진 강원도 횡성보다도 1만 5,000두가 많은 수준이며, 전국적으로도 정읍, 상주, 경주에 이어 한우 사육 규모 4위에 해당합니다. 여기에 육우와 젖소까지 포함한 전체 소 사육 규모는 전국 5위를 기록하고 있어 청주시는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축산의 중심지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축산 규모와 위상에 걸맞게 청주시 역시 축산농가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복합형 미생물 생산시설을 단계적으로 도입해 나간다면 현장의 불편을 해소하고 행정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경기도 파주시는 2019년부터 북부 지역 농업인의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미생물배양실 북부지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총 15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설비를 갖추고 연간 500톤 규모의 농업용ㆍ축산용 미생물을 공급하고 있으며, 본소ㆍ지소 간 분산형 공급체계를 통해 접근성을 개선하였습니다. 본 의원은 2024년 행정사무감사에서도 수계지역 외 농가에 대한 미생물 보급 접근성 문제를 분명히 지적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청주시의 대응은 낭성면 시설의 전면 가동, 1회 배급량 확대, 농가 대상 홍보 강화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는 근본적인 보급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하기에 너무나 부족합니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분명합니다. 우선 축산농가 밀집 지역에 미생물을 보다 쉽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공급 거점을 마련하고, 장기적으로는 액상ㆍ고형미생물을 함께 생산ㆍ공급할 수 있는 복합형 배양시설을 추가 설치하여 지역 내 자급 기반을 갖춘 분산형 공급망을 구축해 나가야 합니다. 이러한 체계가 갖춰진다면 보급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농가 접근성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농촌과 도시가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악취 민원 해소 효과도 함께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제는 문제의 본질을 회피하지 말고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 축산농가의 노력을 행정이 뒷받침할 수 있도록 내년도 농업예산 편성과 함께 가용부지에 대한 타당성조사와 기본계획 수립 등 구체적인 사업 추진을 부탁드립니다. 이상으로 발언을 마치겠습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번호 | 회기정보 | 의원 | 내용 | 회의록보기 | 영상보기 |
---|---|---|---|---|---|
539 | 제95회 제2차 2025-06-30 | ![]() 박근영 의원 |
도시가스 미공급지역 주민의 에너지 복지 향상 촉구 | 회의록 | 영상보기 |
538 | 제95회 제2차 2025-06-30 | ![]() 이화정 의원 |
사회복지 현장의 안전한 서비스를 위해 최소한의 지원이 필요합니다. | 회의록 | 영상보기 |
537 | 제95회 제2차 2025-06-30 | ![]() 정재우 의원 |
100만 자족도시, 주거환경 정비없이 불가하다! | 회의록 | 영상보기 |
536 | 제95회 제2차 2025-06-30 | ![]() 김성택 의원 |
도시의 브랜드는 안전의 토대 위에 새로운 공간 창출로 완성됩니다. | 회의록 | 영상보기 |
535 | 제95회 제2차 2025-06-30 | ![]() 홍순철 의원 |
보이지 않는 싱크홀의 위험 | 회의록 | 영상보기 |
534 | 제95회 제1차 2025-06-20 | ![]() 남인범 의원 |
“차이가 장벽이 되지 않는 문화도시 청주” | 회의록 | 영상보기 |
533 | 제95회 제1차 2025-06-20 | ![]() 정영석 의원 |
체육+치유, 지역을 바꾸는 스마트 투자 | 회의록 | 영상보기 |
532 | 제95회 제1차 2025-06-20 | ![]() 이인숙 의원 |
전국 4위 축산도시 청주, 농가의 발걸음이 헛되지 않도록 | 회의록 | 영상보기 |
531 | 제95회 제1차 2025-06-20 | ![]() 한동순 의원 |
백제유물전시관, 닫힌 공간에서 열린 역사문화공간으로 | 회의록 | 영상보기 |
530 | 제95회 제1차 2025-06-20 | ![]() 이한국 의원 |
청주시 비상대피시설, 장애인 편의(便宜) 틈새 안전망 촉구(促求) | 회의록 | 영상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