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정연숙 의원 2025-04-21 |
회의록 영상보기 |
존경하는 청주시민 여러분, 선배ㆍ동료의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경제문화위원회 정연숙 의원입니다. 최근 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인해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과 산불피해 주민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내일 4월 22일은 지구의 날이자 자전거의 날입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극단적인 기상 현상은 이제 현실이 되어 버렸습니다. 이에 본 의원은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의 소중함을 다시금 되새기고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을 함께 고민해 보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 출퇴근을 하거나 누군가를 만나러 갈 때, 여행을 떠날 때 우리는 늘 이동합니다. 그런데 혹시 우리가 이동하는 방식이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 본 적 있으신가요? 승용차를 비롯한 교통수단들은 매일 엄청난 양의 탄소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승용차 한 대가 1년 동안 배출하는 탄소는 약 2.4톤으로 이를 흡수하려면 나무 240그루를 심어야 한다고 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이동 습관을 조금만 바꿔도 탄소배출은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승용차가 가장 많은 탄소를 배출하고 그다음이 버스, 전철, 자전거, 도보순이었습니다. 즉,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걸어서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탄소배출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자전거는 탄소배출이 전혀 없는 이동수단입니다. 이미 여러 지자체에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창원시는 자전거도시 선언 이후 도로와 공공자전거를 대폭 확충하며 도심 교통혼잡을 완화하고 자전거도시 이미지를 확립했습니다. 대전은 도심과 외곽을 연결하는 자전거 간선도로와 안전시설을 보강하여 도심 이동의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세종시는 자전거도로와 보행자도로 분리형 구조를 확대하고 공유 자전거 사업을 시범 운영하며 녹색교통도시로서의 브랜드 가치를 끌어 올렸습니다. 반면 청주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따라 5년 단위 법정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나 실제 이행은 매우 부진한 상황입니다. 2023년에 수립된 청주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계획에 따르면 2019년부터 ’23년까지 계획된 자전거도로 17개 노선, 총 32.39킬로미터 가운데 실제로 정비된 구간은 5개 노선, 8.56킬로미터에 불과해 달성률은 26.4퍼센트에 그쳤습니다. 특히 보행자 겸용도로를 분리형으로 전환하겠다는 12개 노선은 단 한 곳도 정비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계획과 실행 간의 괴리는 단순한 행정적인 문제를 넘어 예산 부족, 행정 우선순위 미반영, 부서 간 협력 부족 등의 한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로 인해 시민 참여를 이끌어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책의 지속성과 실행력 또한 크게 떨어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본 의원은 청주시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합니다. 첫째, 청주시 어디서든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자전거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해야 합니다. 주요 간선도로와 주거지ㆍ관광지 주변에 자전거 전용도로망을 확충ㆍ정비하고, 자전거 휴게소 및 서비스센터를 설치하여 공기 주입, 간단한 수리, 편의시설 등을 제공한다면 이용자의 안전과 편의가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 둘째, 자전거길ㆍ교통안전ㆍ편의시설 정보를 한데 모아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해야 합니다. 모바일 앱(app)이나 웹사이트를 활용해 경로 안내, 안전 수칙, 행사ㆍ이벤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면 시민들이 자전거를 더욱 친숙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셋째, 시청 내 별도의 전담 조직을 구성해 자전거 정책 전반을 기획부터 예산ㆍ홍보ㆍ모니터링까지 일원화해야 합니다. 추진 체계가 명확해지면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고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정책을 꾸준히 개선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난 3년간의 해외공무연수에서 느꼈던 각 나라별 공통점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세심한 배려와 체계적인 관리ㆍ운영이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첫걸음이었다는 것입니다. 청주시도 적극적으로 검토ㆍ추진한다면 건강과 환경 그리고 경제적 활력을 동시에 아우르는 미래지향적 청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입니다. 끝까지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번호 | 회기정보 | 의원 | 내용 | 회의록보기 | 영상보기 |
---|---|---|---|---|---|
524 | 제94회 제1차 2025-04-21 | ![]() 정연숙 의원 |
청주시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 회의록 | 영상보기 |
523 | 제94회 제1차 2025-04-21 | ![]() 김은숙 의원 |
ESG로 열어가는 청주시의 지속가능한 미래 | 회의록 | 영상보기 |
522 | 제94회 제1차 2025-04-21 | ![]() 남연심 의원 |
청주시 빛으로 마음을 담다 | 회의록 | 영상보기 |
521 | 제94회 제1차 2025-04-21 | ![]() 김태순 의원 |
“걸을수록 돈이 되는 걷기 도시, 왜 청주시는 안되나” | 회의록 | 영상보기 |
520 | 제94회 제1차 2025-04-21 | ![]() 임정수 의원 |
문화제조창, 문화와 녹지를 품은 열린공간으로 | 회의록 | 영상보기 |
519 | 제93회 제2차 2025-04-04 | ![]() 정재우 의원 |
꿀잼청주는 오창저수지 둘레길 조성사업을 외면하는가 | 회의록 | 영상보기 |
518 | 제93회 제2차 2025-04-04 | ![]() 홍순철 의원 |
가경동 행정복지센터 신축·이전을 촉구하며 | 회의록 | 영상보기 |
517 | 제93회 제2차 2025-04-04 | ![]() 이한국 의원 |
청주시 물품관리, 이제 사물인터넷(IoT)으로 혁신할 때! | 회의록 | 영상보기 |
516 | 제93회 제2차 2025-04-04 | ![]() 이예숙 의원 |
기억품은 치매안심마을 청주시에 그리다 | 회의록 | 영상보기 |
515 | 제93회 제2차 2025-04-04 | ![]() 임정수 의원 |
명암관망탑, 철거가 답이다. | 회의록 | 영상보기 |